활동

우리는 공익적 약국을 지향합니다

사의련 2019. 10. 7. 12:04

[우리가 원하는 의료기관_6] '늘픔약국' 최진혜 약사

 

한국사회적의료기관연합회(이하 사의련)가 '공익성 높은 의료'를 실현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활동을 소개한다. 다양한 활동과 제도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의료기관들의 모습을 통해 지역주민들의 건강권을 향상하고 더 나아가 한국사회 의료의 공공성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6회로 늘픔약국을 찾아가 공익적 약국 모델에 대해 듣는 시간을 가졌다.

 

수익을 스스로 포기한 이상한 약사들이 운영하는 약국이 있다. 2010년 개국한 늘픔약국. 이 약국의 수익배분과 운영방식은 일반 개인약국과 다르다. 약국과 관련된 모든 일은 회의를 통해 정하고 약사들은 월급만 가져가며 나머지 수익금은 지역사회를 위해 사용한다.

 

"약국문을 열고 닫는 것부터 모든 운영을 공동으로 결정합니다. 개인약국을 하면 돈을 벌 수는 있죠. 그런데 학교 다닐 때부터 품었던 늘픔의 가치를 지키며 살고 싶어 이런 공동체약국을 만들게 됐습니다."

 

늘픔약국의 최진혜 약사가 말하는 공동체약국에 대한 설명이다. 늘픔약국은 모든 수익을 개인의 자산축적이 아닌 약국 운영과 시설투자, 그리고 지역공동체 건강증진 활동에 쓰고 있다. 2006년 시작된 종로구 창신동 일대 쪽방 봉사활동에 필요한 의약품 지원, 처방약이 아닌 감기약 같은 모든 약에 복용방법을 알리는 스티커 부착 등 약물안전을 위한 서비스 활동, 홀몸어르신들을 위한 방문복약지도와 약 정리 등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늘픔이 수익을 사용하는 곳이다.

 

'늘픔'이란 이름은 2006년 약대생들의 모임에서 시작됐다. 학생들이 졸업하면서 2011년 늘픔약사회가 만들어진다. 늘픔약국은 약사회보다 1년 앞서 신림동에 처음 문을 열었다. 지금은 6개월 전에 개국한 내곡동의 약국을 포함해, 2약국 4약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늘픔약사회에는 40명의 약사들이 있고 학생들은 80명 정도가 활동하고 있다. 늘픔약사회에 소속된 모든 약사들이 공동체약국을 운영하는 것은 아니다. 신림동과 내곡동, 2곳의 약국이 공동체약국을 지향점으로 삼아 활동하고 있다.

 

"늘픔약국을 통해 공동체약국의 모델을 만들고 싶어요. 올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명 '공익적 약국 실습' 프로그램을 추진하려고 합니다. 우리가 학생들에게 뭔가를 가르치기보다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환자를 대하는 관점, 대화법, 질문 등 약국에서 이뤄지는 모든 행동에서 배울 수 있도록 저희는 자리만 만들 겁니다."

 

머리가 아프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가 아프면 또 어떤 약을 먹어야 할까. 대부분 사람들은 진통제나 광고에 나오는 잇몸치료보조제 등을 사러 약국에 간다.최 약사는 "두통으로 환자가 약국을 찾았을 때, 판매 마진 높은 약만을 파는 게 아니라 습관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닌지, 진통제가 아니라 정말 병원에 가야 할 정도는 아닌지 묻는 게 중요하죠. 우리가 추구하는 약국의 모습은 이런 질문을 통해 종합적인 사고로 환자를 대하는 곳입니다. 단순히 약만을 판매하는 소매업이 아닌 거죠"라고 말한다.

 

늘픔약국의 약사들은 얼마전 독감예방 접종을 받았다. 약국에는 접종을 했다는 안내문을 부쳤다. 물론 비용은 약국에서 지원했다. 그는 "예방접종이 의무사항은 아니다. 하지만 감염예방을 위해, 그리고 약국을 방문한 사람들에게도 접종을 유도하기 위해 알리고 있습니다"라며 "노인정액제, 야간 및 휴일가산제처럼 사람들이 알아야 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알리는 것도 공익적 약국 모델의 하나라고 생각합니다"고 덧붙였다.

 

우리 사회 건강불평등과 관련한 질문에 대해, 그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너무 많다며 "왜 화이트칼라보다 블루칼라가 더 많이 다치고 잘리고 죽고 그러죠? 학력과 소득수준이 낮은 부모 아래 자식들이 더 많이 잘리고 치이고 다치는지 마음이 아파요. 늘픔약국이 아무리 잘해도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 치료의 영역이 아닌 사회적 건강권이 나아져야 해결될 문제들이죠. 사의련이 이런 문제들에 공동으로 발언하고 대응하는 단체가 됐으면 합니다"며 힘주어 말했다.

 

이외에도 그는 "의료기관의 경영 안정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많이 해줬으면 한다. 기관마다 사람 구하기 힘들고 월급 주기도 어려운데 큰 지향점들만 이야기하면 피부에 다가오지 못합니다"며 "일본민의련도 좋고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도 좋으니 경영과 운영을 잘하는 곳의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줬으면 합니다. 약국은 약국끼리, 개원의는 개원의끼리 현실의 고민을 공유하고 해결해보려는 노력도 필요합니다"며 창립을 앞두고 있는 사의련에 대해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공동체약국을 꾸리고 있는 최 약사는 안전하고 존중받는 공동체 삶을 꿈꾸고 있다. "부모님도 같이 모시고 아이들도 함께 돌보는 공동체 좋지 않나요.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산다며 다르게 보지 않고 노인이라고 괄시하지 않고 어린이라고 무시하지 않는 다양한 삶이 인정받는 공동체를 만들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