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61

[사의련] 통합돌봄과 방문의료 모델

"건강보험연구원 통합돌봄연구센터 최재우 부연구위원은 최근 한국사회적의료기관연합회(사의련) 세미나를 통해 '통합돌봄 추진을 위한 방문의료 모델 개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통합돌봄 방문진료 시범사업은 지난 2019년 6월 시작해 2022년 12월 종료됐다. 오는 8월부터 2차 시범사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지난 시범사업 성과를 평가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2차 시범사업에 적용할 방문진료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https://bit.ly/3HTYICP 성과도 한계도 뚜렷한 통합돌봄사업…지역사회 뿌리내리려면? - 청년의사 커뮤니티케어를 통한 방문진료서비스가 불필요한 의료이용을 줄이면서 의료기관 방문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에 앞으로..

뉴스 2023.02.03

[프레시안] 박지영 원장

대전 민들레의원 박지영 원장의 '지역사회 의료일지' 시즌2 세 번째 이야깁니다. "그냥 의사라서 받는 존중에 익숙해지지 않고, 저를 찾아 주시는 분들이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식과 공감능력, 진심을 담은 말을 전달력 있게 하는 의사가 되고 싶습니다. 그리고, 저를 존중해주시고 기꺼이 설득되어 주시는 환자분들께 지면으로나마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https://bit.ly/3HGyfsj 결국 환자의 마음이 열리는 순간은 옵니다 안녕하세요. 진료실 안팎에서 지역사회의 아픈 분들을 만나고 있는 야옹 선생입니다. 의사는 환자의 질병이나 건강상태를 진단하고 미리 예방하거나 치료하여 보다 건강한 삶을 살 수... www.pressian.com

뉴스 2023.01.30

[서울신문] 정형준 과장

원진녹색병원 재활의학과 정형준 과장이 연재하고 있는 '정형준의 희망 의학' “상급종합병원에 추가되는 재정비용은 꼭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균형 있게 제공하라는 취지다. 권역응급센터에 배정되는 가산비용도 마찬가지다. 수익성이 있는 진료 과목에서 벌어들인 초과 이익을 손실이 발생하는 진료 과목의 인력 배치 등에 투입하지 않는다면 애초에 일률적인 가산을 할 이유가 없다.” https://bit.ly/3HaflsA [정형준의 희망 의학] 병원에는 묻지 않는 책임/녹색병원 재활의학과장 길병원이 지난해 말 전공의 미달로 인력이 부족하다며 소아과 입원진료 중단을 선언했다. 전국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율은 16%가량으로 대다수 교육병원에 전공의가 태부족한 상황이다. 지 www.seoul.co.kr

뉴스 2023.01.27

[한국농어민신문]나준식 원장

[지역사회 의료이야기] 지역사회통합돌봄, ‘전국민 돌봄보장’으로 나아가야 _나준식 민들레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민들레의원 원장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2202 [지역사회 의료이야기] 지역사회통합돌봄, ‘전국민 돌봄보장’으로 나아가야 - 한국농어민신문 [한국농어민신문] ‘지역사회통합돌봄’이란 보건의료와 복지, 요양 돌봄 서비스와 주거생활지원을 통해 돌봄이 필요한 주민들이 자신이 살던 집(지역)에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다 www.agrinet.co.kr

뉴스 2022.09.07

[한국농어민신문]이훈호 원장

[지역사회 의료이야기] 농어촌 ‘마을주치의’를 위한 제안 _이훈호 홍성의료생활협동조합 우리동네의원 원장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1119 [지역사회 의료이야기] 농어촌 ‘마을주치의’를 위한 제안 - 한국농어민신문 [한국농어민신문] 농어촌 문제는 지역마다 환경과 자원이 다르다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한다. 군 단위 지역에도 심장센터가 있는 의료원이 있는가 하면, 마을에도 지역아동센터나 주간보호센터가 www.agrinet.co.kr

뉴스 2022.09.07

[한국농어민신문]임형석 원장

[지역사회 의료이야기] 장애인 건강주치의 제도의 현실 _광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우리동네의원 원장 임형석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0131 [지역사회 의료이야기] 장애인 건강주치의 제도의 현실 - 한국농어민신문 [한국농어민신문] ‘따르릉따르릉’ 얼마 전 중년의 정신장애 딸과 함께 사는 노모로부터 전화 한 통을 받았다. 딸이 며칠 전부터 배가 아프고 설사를 한다며 방문 진료가 가능한지 묻는 전화였 www.agrinet.co.kr

뉴스 2022.09.07

[한국농어민신문] 김봉구 이사장

[기고] 대한민국 의료시스템의 민낯 _김봉구 한국사회적의료기관연합회 이사장(녹색병원 명예원장)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9265 [기고] 대한민국 의료시스템의 민낯 - 한국농어민신문 [한국농어민신문]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대한민국 의료시스템의 민낯을 볼 수 있었다. 공공의료가 전체의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 병상 기준으로 10%에 불과하지만, 코로나 환자의 70%가 공공병 www.agrinet.co.kr

뉴스 2022.09.07

[콩나물신문] 이선주 전무이사

며칠 전 '모두의 공공병원 설립을 위한 부천시민행동 300'을 성공적으로 해낸 부천의료사협 이선주 전무이사님 기고입니다. "공공병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천 시민 300명을 모아 11월 한 달 동안 주변 사람들의 생각을 모으는 일을 하려고 합니다. 공공의료, 공공병원, 필수 의료 등에 대한 생각을 묻고 그것들을 하나의 목소리로 모아내어 공공병원을 준비하는 시민들의 네트워크를 구성해 보고자 합니다." http://www.kong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05

뉴스 2021.11.02

[비마이너]장창현 원장

사의련 3곳 의료기관에서 마음이 아픈 이들을 만나고 있는 장창현 선생님이 번역한 책입니다. “세 번째 의사와 만났다. 동거인의 친구로부터 상담 시 이야기를 잘 들어준다는 소개를 받고 찾아간 의사였다. 그는 『비판정신의학』(샌드라 스타인가드 저, 장창현 역, 건강미디어협동조합, 2020)을 번역하기도 했다. 이번 의사는 나의 ‘목소리 듣기’(hearing voice)에 대해 이전의 의사들과 다른 식으로 접근했다.” https://www.beminor.com/news/articleView.html?idxno=22197

뉴스 2021.10.25

[한겨레]홍종원 원장

외래 없이 방문진료만 하는 의원, 건강의집의원 홍종원 원장님이 토요판에 연재하고 있는 ‘남의 집 드나드는 닥터 홍’입니다. “나만 아니면 될까? 고령의 아픈 이들은 우리 사회가 짊어져야 할 부담이 아니라, 미래의 나 혹은 내 가족의 모습일 가능성이 크다. 노화와 질병은 대비하기도 전에 갑자기 우리를 아프게 한다. 부족한 돌봄 체계는 그 아픔을 배가한다. 사회 체계와 복지서비스는 분절적으로 제공되지만, 우리 삶은 연속적이다. 노후를 대비하는 사회안전망은 더욱 촘촘해야 한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1016316.html 비참한 결말 아니길 바래도…경제력이 결정하는 돌봄과 죽음의 형태 [한겨레S] 남의 집 드나드는 닥터홍병원 힘 빌릴 수밖에 없을 때 w..

뉴스 2021.10.25